할아버지를 연상캐하는 멋진 턱수염과 쭉뻗은 뒷다리가 매력적인 미니어처 슈 나어 저는 다양한 크기가 있는 견종으로 왕성한 활동력이 매력포인트인 강아지다.
미니어처 슈나우저의 성격 및 특징
원산지가 독일인 미니어처 슈나우저는 독일의 바이에른 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
슈나우저의 단어는 독일어로 콧수염이라는 뜻을가지고 있는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주며 이 강아지의 외형적인 특징만 보더라도 정말 잘 지어진 이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곱실거리는 털에 다부진 체격 그리고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긴 주둥이에 난 턱수염은 한껏 멋을 올려준다.
앞다리보다는 뒷다리가 더 길기 때문에 가만히 서있는 모습을 보게 되면 체중이 약간 앞으로 쏠리는듯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슈나우저의 외형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견종은 푸들처럼 크기에 따라서 종류가 3가지로 나뉘는데 오늘 소개한 미니어처, 스탠더드, 자이언트순으로 크기에 따라 나뉘게 된다.
미니어처의 경우에는 키가 30~36cm 몸무게가 5~9kg으로 소형견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실내에서 키우기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아파트와 빌라가 많은 한국에서도 큰 사랑을 받고 있으며 산책 시에 꽤나 자주 마주치는 강아지 중에 하나이다.
이와 반대로 가장 큰 자이언트의 경우에는 키가 70cm에 이르며 몸무게가 30kg에 달하는 대형견이기 때문에 절대로 아파트와 같은 실내에서 함께 생활하는 것은 상당한 무리가 따른다.
미국이나 유럽 등 넓은 마당과 주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미니어처보다는 스탠더드와 자이언트를 많이 키우는 것이 그 이유이다.
미니어처 슈나우저의 단점
한국에서 많이 키우는 미니어처는 체구는 작지만 그 활동성만큼은 자이언트에 비해서 결코 뒤처지지 않는다.
태생이 사냥에 특화된 테리어계열이기도 하고 유럽에서 사냥감을 추적하는데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본능이 오늘날까지도 DNA에 박혀 살아있기 때문이다.
야외에서 키운다면 큰 문제는 되지 않지만 한국과 같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경우에는 넘치는 활동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3대 악마견 또는 3대 지랄견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웃지 못하는 지랄 맞은 사건등의 주인공으로 자주 거론된다.
이유는 한국에서 푸들, 비숑, 몰티즈, 포메등과 다르게 희소성이 약간이나마 있고 새끼 때의 모습이 정말 귀엽기 때문에 슈나우저의 대한 정보가 없는 초보 보호자들이 외형적인 모습에 덜컥 분양을 받았다가 개춘기를 맞은 슈나우저의 모습에 멘털이 붕괴되는 일이 다분하기 때문이다.
만약 분양받은 지 얼마 안 된 강아지가 오늘 소개한 미니어처 슈나우저라면 매일 한 시간 정도의 산책은 물론이고 집에 돌아와서도 격렬하게 함께 놀아주는 것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슈나우저가 잘 걸리는 질병
슈나우저는 넘치는 에너지와 활동력에도 불구하고 안구에 관련한 질환에 매우 취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백내장이 발병할 확률이 다른 견종에 비해 높은 편이며 눈꺼풀이 눈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질병도 곧 잘 발병하기 때문에 안구건강에 관한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슈나우저는 한국에서는 극소수의 개체가 들어와서 번식을 했기 때문에 유전질환에 취약하며 특히 `망막 위축증`이라는 유전질환이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망막 위축증은 7~8년 차에 망막의 기능이 점차 감소하여 나중에는 완전히 실명하게 되는 질병으로 아직까지 완전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슈나우저의 평균수명
특별한 유전질환이 없는 경우 10~14년 정도의 평균수명을 가진다.
한국의 경우는 동물들의 복지 수준이 상당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건강검진만 해준다면 평균수명까지는 무난하게 살 수 있다.
다만 바쁜 일상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강아지에게 몇 시간의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이 무척이나 힘들일이기 때문에 활동성의 부족으로 스트레스에 상당히 노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으로 강아지의 수명을 상당 부분 감소시킨다.
똑똑한 강아지 지능 순위 1위~5위
과거에 똑똑한 강아지 지능 순위 1위~10위까지를 포스팅했으나 순위에 오른 강아지의 설명이 다소 부족한 감이 있어 좀 더 순위를 세분화하여 다시 포스팅하였습니다. 똑똑한 개 강아지 지능 순
leehope1104.tistory.com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에게 당근 먹여도 괜찮을까? (0) | 2023.04.06 |
---|---|
강아지 발톱은 언제 짜르지? (0) | 2023.04.05 |
강아지에게 감을 먹여도 될까? (0) | 2023.04.03 |
말티즈의 특징 단점 성격 평균수명 질환을 알아봅시다. (0) | 2023.03.31 |
치와와의 성격 특징 단점 평균수명 질환 (0) | 2023.03.30 |
댓글